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27

빵 제법의 과학 1.빵의 2대 제법 오늘날 주류를 이루는 빵 제법' 스트레이트법'과'중종법은 미국에서 같은 시기에 공업용 이스트를 사용해 개발한것이다. 100년 이상이나 전에 미국 육군이 무척 완성도 높은 내용으로 간행한 메뉴얼북에 소개되었다. 제 1차 세계대전 때 유럽 전선으로 향하기 위한 준비 중 하나로, 1916년 11월에 스콧 장군(H.I.Scott)의 명령에 따라 제작 된 (Manual for Army Bakers, 1916)이다. 이하, 필자가 번역한 것을 현재 사정에 맞게 가필해서 그 2대 제법을 소개해본다. 1-1. 스트레이트법(Straight Dough Method) 스트레이트법은 모든 재료를 한꺼번에 넣고 한 번의 믹싱으로 반죽을 끝내는 제법이다. 1900년 무렵에 유럽과 미국에서 공업용 압착 이스트가.. 2022. 3. 9.
플로랑탱 사블레(Florentin sable),과자,구움과자 1.플로랑탱역사 플로랑탱은 아몬드 누가를 얇게 구워 뒷면에 초콜릿을 입힌 작은 과자를 가리킨다. florentin: 피렌체(프랑스어로 플로랑스(florence))풍이라는 의미의 형용사 남성명사로 피렌체풍의 아몬드를 사용한과자의 명칭. 사블레재료 파트사블레(pate sablee) 박력 250g 베이킹파우더 2.5g 슈거파우더 125g 버터 125g 달걀 50g 소금 1.5g 1.체친 가류루와 슈거파우더, 작게 자른 버터를 푸드 프로세서에 넣고 돌린다. 2.버터가 박력분 속에 분산되어 보이지 않게 되고 보슬보슬한 상태가 될 때까지 휘저어 섞는다. 3.달걀을 풀고 소금을 넣어 녹인다. 2에 넣는다. 4.전체적으로 섞여서 뭉쳐질 때까지 휘저어 섞는다. 5.작업대로 옮겨 반죽을 조금씩 손바닥으로 밀어내듯이 해서 .. 2022. 3. 7.
베이킹공부하기10(유제품 공부) -빵에 쓰이는 유제품 유제품이라고 하면 우유를 비롯해 버터, 생크림, 요구르트, 치즈 등이 일반적이고 그중에서 버터는 유제품과 유지류 양쪽에 분류되며, 제빵의 경우 버터는 통상적으로 유지로 구분하고 있다. 빵을 만들 때 쓰이는 유제품의 대표선수로는 뭐니뭐니해도 '탈지분유'가 있겠다. 일본에서는 보통'스킴밀크'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한국에ㅅ는 탈지분유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빵은 과자와 달리 우유, 생크림, 요구르트, 치즈(가루치즈,크림치즈 등)를 많이 쓰지 않는다. 예외로 필링이나 크림에 쓰는 경우는 있지만, 빵 반죽 자체에 첨가할 때는 소량만 넣는다. 많은 빵에 탈지분유가 들어가는 이유는 비용이 저렴하고 사용 방법이 간단하며 장기간 보존,보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제품의 역할에는 크러스트.. 2022. 3. 6.
베이킹 이론 공부8(달걀의 과학) 달걀의 과학 -팔방미인 노른자!! 달걀은 당류, 유지, 유제품에 이어 빵 반죽이 잘 나오게 만들어주는 훌륭한 부재료 중 하나다. 특히 노른자의 효과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단백질의 영양가를 나타내는 지수인 프로테인 스코어를 보면 달걀은 전란 일때 최대치인 100이 된다. 프로테인 스코어란 인체에서 합성되지 못해 음식물로 ㅅㅂ취해야 하는 8종류의 아미노산, 즉 필수아미노산이 적절히 잘 함유 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데, 이것만 봐도 영양가가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다. 그중 35-40%를 점하는 노른자의 평균 성분비는 수분 50%,지질30%,단백질 15%, 기타(미네랄, 비타민 등) 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질은 중성지방 65%, 인지질(레시틴)30%,콜레스테롤5%로 이루어져 있다. 달걀 노른자가 노.. 2022. 3. 5.
빵의 노화를 늦추는 방법,빵의보관 1.빵의노화 오래된 빵과 노화된 빵에는 왠지 차이가 있다.(잘만들어진)오래된 빵은 나이 먹은 사람처럼 특징이 강해진다. 금방 구운 빵처럼 멋진 껍질은 없지만, 빵은 묘하게 시간이 지나면서 깊이가 생긴다. 하지마 빵도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노화가 되는데, 이런 노화 과정을'전분퇴화'라고 한다 굽기 전에는 전분이 크리스탈 형태로 있다가, 굽는 과정에서 물과 함께 부풀면서 젤라틴화 된다. 그러나 빵이 식기 시작하면 전분은 다시 이전의 크리스탈 구조로 돌아가기 시작하고 빵의 속살이 굳는다. 퇴행과 노화의 과정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시작을 늦춰서 그 영향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는 방법들은 있다. 빵을 굽고나서 주의해서 식힌다. 빵 주위의 공기 흐름이 빵 속의 습기를 더 빨리 증발시켜서 아직 빵이 완전히 구.. 2022. 3. 4.
베이킹 이론 공부하기8(소금에 대해서) 1.소금은 글루텐을 강화 시킨다? 소금이 들어간 빵 반죽과 소금이 들어가지 않은 빵 반죽을 비교해보면 그 차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소금이 든 반죽은 알맞은 탄력 그리고 살짝 달라 붙긴 하지만 표면이 부드럽게 완성된다. 반면'소금이 없는'반죽은 신장성이라는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몹시 끈적끈적해진다. 옛날 빵 장인은'소금이 글루텐을 강화시킨다'라든지'소금은 빵 반죽을 조인다'고 흔히 말했다. 이 말은 지금까지도 통용되는 '빵격언'인데, 왜 이런 말이 생겼을까? 식염이 글루텐에 미치는 영향으로 빵 반죽이 달라붙는 것을 완화시키고 반죽을 조이는 효과가 있다. 점탄성을 띠는 글루텐은 점성이 있는 글리아딘과 탄성이 있는 글루테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글리아딘,글루테닌은 둘 다 물과 식염수 및 알코올에.. 2022. 3. 3.
반응형